1. “살 빠졌네!”는 착각이었다? 체중은 내려갔지만…
월요일 아침, 스마트 체중계에 올라섰다.
오! 체중이 1.1kg 줄었다.
출근 준비하면서 괜히 거울 한 번 더 보고,
“나 이번 주 점심은 부리또 먹어도 괜찮지 않을까?” 하는 자신감까지 생겼다.
그런데 앱을 좀 더 자세히 들여다보니… 뭔가 이상했다.
월요일
체중: 56.2kg
체지방률: 28.5%
근육량: 39.6kg
금요일
체중: 55.1kg
체지방률: 29.2%
근육량: 38.7kg
응? 근육이 빠지고 체지방률은 올라갔다고?
그럼 1.1kg 줄어든 건 살이 아니라… 근육?
진짜 문제는 이거였다.
살이 빠진 게 아니라 '에너지 공장'이 줄어든 거였다.
그 순간, 깨달았다.
체중만 보고 좋아했던 지난 4일은,
몸의 속사정은 전혀 몰랐던 '겉핥기 다이어트 자축 쇼'였던 것.
2. 체지방률이란? 내 몸의 ‘비율 전쟁’에서 진짜 주인공
체지방률은 말 그대로
내 몸에 지방이 몇 퍼센트 차지하고 있는지를 보여주는 지표.
예를 들어 체중이 60kg인데 체지방률이 30%라면,
그 중 18kg이 지방이라는 얘기다.
즉, 체중보다 훨씬 중요한 건 ‘무엇으로 구성되어 있느냐’는 거.
체지방률이 낮다는 건
- 근육량이 많다
- 기초대사량이 높다
- 쉽게 피곤하지 않는다
- 살이 쉽게 찌지 않는다
반대로 체중은 적어도 체지방률이 높으면?
- 겉보기엔 마른데 배는 볼록
- 운동하면 지침
- 식단 조금만 흐트러져도 바로 찌는 체질
바로 이게 ‘마른 비만’의 전형적인 패턴이고,
나도 그 패턴에 슬쩍 들어가 있었던 것이다.
체중계 숫자에 속았던 지난 며칠이 부끄러웠다. 😂
📊 3. 일주일 간 체지방률 변화 데이터를 공개합니다
아래는 실제로 내가 지난 일주일 동안 매일 측정한 스마트 체중계 데이터야.
(시간은 매일 아침 기상 직후, 공복 기준)
월요일 | 56.2 | 28.5 | 39.6 |
화요일 | 55.8 | 28.9 | 39.2 |
수요일 | 55.4 | 29.0 | 38.9 |
목요일 | 55.3 | 29.1 | 38.8 |
금요일 | 55.1 | 29.2 | 38.7 |
어떤가?
체중은 꾸준히 줄어드는데 체지방률은 오히려 올라가고 있다.
왜 이런 일이 벌어졌을까?
간단하다.
나는 이번 주 내내 탄수화물 섭취를 줄이고,
유산소 운동만 집중했으며,
단백질 섭취량은 평소보다 확실히 적었다.
즉, 내 몸은
"영양 부족하다 → 근육 써버리자 → 대사량 낮아짐 → 지방 비율 상대적으로 증가"
라는 악순환에 돌입하고 있었던 것이다.
결론:
살 빠진 게 아니었고, ‘튼튼함’을 잃어버린 중이었다. 🥲
4. 체지방률을 낮추려면? 숫자가 아니라 ‘루틴’을 바꿔야 한다
그래서 나는 금요일 저녁, 작심하고 루틴을 바꿨다.
✅ 단백질 섭취량 늘리기
- 하루 두 끼에 단백질 식단 (계란, 두부, 닭가슴살 등)
✅ 유산소 + 근력운동 병행
- 30분 걷기 + 15분 맨몸 스쿼트 or 플랭크
- 근육 지키는 게 체지방률 낮추는 핵심
✅ 수면 6시간 이상 확보
- 체지방은 수면 시간 짧을수록 잘 안 빠짐
- 수면 부족 → 코르티솔 증가 → 지방 저장
✅ 스마트 체중계 매일 기록
- 매일 같은 시간대에 측정해서 데이터 누적
- 숫자를 분석하는 습관이 생김
그리고 일요일 아침, 놀라운 일이 생겼다.
체중: 55.3kg (금요일보다 +0.2kg)
체지방률: 28.4% (금요일보다 -0.8%)
근육량: 39.3kg (회복 중)
이제는 숫자 하나에 일희일비하지 않는다.
체지방률이 바뀌기 시작하면,
그건 진짜 변화가 시작됐다는 증거니까.
'개인 헬스 데이터 해석' 카테고리의 다른 글
기초대사량이 낮은 날, 몸이 쉽게 지치는 이유 (0) | 2025.07.31 |
---|---|
인바디에서 내장지방 점수가 오를 때, 몸이 보내는 신호 (2) | 2025.07.30 |
🧂 주말에 소금기 있는 음식 먹고 체수분 데이터가 급등한 이유 (1) | 2025.07.29 |
⚖️ 체중은 그대로인데 체지방만 늘었다, 스마트 체중계가 알려준 진실 (3) | 2025.07.28 |
내 생리 주기와 잠 패턴이 실제로 이렇게 다르다고? (0) | 2025.07.27 |
밤새 스마트워치가 기록한 산소포화도, 내가 자는 동안 무슨 일이? 🌙 (2) | 2025.07.27 |
낮잠 20분이 그날 밤 수면 데이터에 미치는 영향 😴 (0) | 2025.07.25 |
불면증이 심한 날 🌙, 수면 데이터에 공통적으로 나타난 패턴 (0) | 2025.07.24 |